카테고리 없음

AWS TechCamp 후기 (2025.06.24~26일 까지의 과정)

awesomepoporis 2025. 8. 2. 14:56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또 후기를 들고 왔습니다. 저는 최근 AWS 배움에 빠져있어 AWS 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강의, 교육 등 관심이 많아 찾아보고 직접 참여까지 하는데요, 저번달인 6월에 참여한 AWS TechCamp 에서 참석 증명서가 도착해서 후기를 작성 해 보고자 합니다.

 

2025.06.24~26까지 3일간 진행한 AWS TechCamp지원하고 라이브 강의도 보고 실습도 해보고 난 결과 크래딧($50)도 받고 참석 증명서 까지 챙긴 후기입니다.

 

#우선 AWS TechCamp 란??

AWS TechCamp는 Amazon Web Services(AWS) 기술을 실시간 실습을 통해 학습하고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참가자들은 AWS의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직접 적용해 보면서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그리고 크래딧도 주는 아주 좋은 프로그램이죠 ㅎㅎ 그럼 바로 본론으로 가보죠!

 

우선 1일차에는 

처음 시작하는 AWS: 기초부터 웹 서비스 구축까지 (레벨 100)

서버리스로 가속하는 현대적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레벨 100)

 

라는 두 가지의 프로그램으로 진행 하였고,

 

처음 시작하는 AWS: 기초부터 웹 서비스 구축까지 (레벨 100)

첫 프로그램 시간 에서는 클라우드의 기본 설명부터 왜 AWS 를 사용해야 하는지?, 부터 AWS 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위해 사용하는 계정에 관해 알아두어야 할 필수 관리 요소들을 설명하고, AWS를 사용시 어카운트 담당자의 역할 파악, AWS를 도입하는 회사나 기업을 위해 도입을 쉽게하기위해 지원하는 컨설팅 프로그램, 직접 교육 실습까지 진행 해 주는등 초기 AWS 를 배우려는 사람들이나 혹은 기업에 도입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친절히 A-Z 까지 설명을 해주는 시간이였다.

 

서버리스로 가속하는 현대적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레벨 100)

여기서 부턴 실습과 함께 진행을 하였는데,

서버리스(개발자가 서버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 란 무엇 인가에 대해 알아보고

 

서버리스 까지 발전하기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보여줘서 어떻게 발전 하고 변화 했는지 쉽게 알 수 있었고,(물리장비 > 가상머신 > 현대화(컨테이너화) > 서버리스 순)

 

서버리스의 장점(서버 관리 불필요, 사용한 만큼만 지불 On-Demand, 요청에 맞게 확장, 높은 보안 수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이름있는 기업들이(NETFLIX, LG, PHILIPS,mcdonald's ...)이를 사용중이라는 것도 알았고 서버리스 서비스에 중요성에 대해 배웠다.

 

그리고 다양한 카테고리의 서버리스 서비스들(AWS Lamda, Amazon S3, Amazon DynamoDB, Amazon API Gateway....)이 뭐가 있는지알아보고 그 서비스들을 직접 이용 해 보는 실습 시간 까지 가져서 초보자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프로그램이였다.

 

 

실습 내용은 회원관리 API 를 만들어 보았다 요구사항은 

"회원 정보를 생성하고 조회하는 웹 서비스 기능을 아무런 서버 할당 없이 만들어 보세요." 였고,

 

실습내용은 

AWS 서버리스 웹 애플리케이션 구현

• AWS Lambda – 서버리스 컴퓨팅 (API 백엔드)

• Amazon DynamoDB – NoSQL 데이터베이스

• Amazon API Gateway – REST API 정의 및 관리

• Amazon S3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 Amazon Q Dev – Lambda 함수 코드 자동완성 데모

을 진행 하였다. 

 

 

2일 차는

손쉬운 Agent 조합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자비스(스마트 비서) 만들기 (레벨 200)

Amazon Q 개발자 워크샵 - Q-Words 앱 구축하기 (레벨 200)

 

라는 두가지의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는데 가장 재미있었던 시간 이였다 ㅎㅎ(AI 를 이용한 프로그램이였기 때문)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오전 시간엔

손쉬운 Agent 조합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자비스(스마트 비서) 만들기 (레벨 200)

를 진행 하였는데 LLM, AI  Agent 란 무엇인지, 그리고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LLM은 텍스트 생성 및 이해를 담당하는 반면, AI 에이전트는 LLM을 활용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며, 작업을 완료하는 자율적인 시스템) 를 배우고 

 

#Single AI agent(초보적 AI나 단순 시스템 개발에 적합) 

단점: 다른 Agent 와 협력 불가, 복잡한 환경, 다중 주체 문제 해결 한계, 제한적인 학습 환경, 단순한 사고방식, 협업, 분산된 시스템이 요구되는 환경에는 부적합.

 

#Multi Ai Agent(2개 이상의 Agent로 구성 현실의 복잡한 문제 를 해결하기위해 사용, Agent 간의 의사소통)

단점: Agent 간 협력/경쟁 조정이 복잡, Agent 수가 많아질수록 시스템 복잡도 폭증, 동적 환경에서의 안정성 확보 어려움, 목표 충돌 가능성, 의사소통 비용, 합의 과정 등의 추가 설계 필요

 

의 차이, 단점, 어떻게 설계가 이루어지며 어디에 쓰이는지 들도 배울 수 있었다.

 

3일 차는 (제일 흥미로웠음.)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혁신: 제조업 사례기반으로 알아보는 오늘과 미래 (레벨 100)

여행 및 숙박업 : 실제 데모로 알아보는 고객 경험 및 운영 효율성 향상 (레벨 100)

 

실제 업무에서 쓰이는 사례들을 가지고 어떻게 on premise 에서 AWS Cloud Service 로 마이그레이션 되는지 제조업 공장의 자동화, 생성형 AI 기반 스마트 안전 관제 시스템 (위험감지 기능),  여행 어플이나 숙박업 어플에서는 multi AI agent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Amazon Bedrock, Open Search, 오타보정 이전 상담이력 저장, 금칙어, 정치적 질문 들 도 도입이 되어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설계 되어지는 과정들 도 볼 수있었다. 

 

 

지금도 아마존에서는 새로운 서비스들의 등장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앞으로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서비스, 기술을 공부하는데 더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상당히 흥미롭고 좋은 경험이였다. 

 

참석 증명서와 함꼐 받은 $50 크레딧은 AWS 서비스를 직접 실습하고 공부 해 보는데 요긴하게 쓰일 것 같다 고마워요 AWS!